지방쓰는 법- 한국의 굿 황해도 무속인 민혜경, 유명한점집, 무속인, 무당, 신점잘보는곳, 점집, 신내림, 내림굿, 굿, 잘보는점집, 황해도굿, 이북굿, 무당굿, 한양굿, 광주점집, 굿당, 기도터, 한국의 굿, 소문난점집
지방쓰는 법 지방이란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 대신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친 직후 태워버립니다. 옛날에는 사진이 없어서 돌아가신 분에 대한 상징을 글로 표시하여 지방을 썼으나, 지금은 사진이 있으니 사진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면 더욱 좋습니다. 보통 지방은 한자로 작성하여 왔지만, 요즘 들어서는 쓰기 쉽고 이해하기도 쉬운 한글지방을 사용하는 경우도 크게 늘고 있습니다. 남자조상의 지방 해석 및 용례 顯 : 존경의 의미로 지방 첫글자에 항상 붙음. 考 : 모시는 대상 표시. '考'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의미. 아버지 : 顯考 할아버지 : 顯祖考 증조할아버지 : 顯曾祖考 고조할아버지 : 顯高祖考 백부 : 顯伯父 형 : 顯兄 學生 :조상의 지위 표시. '學生'은..
더보기